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미성년자 형사처벌, 전과 생각하면 청소년 성범죄 변호사 만나셔야죠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작성일25-05-16

본문



20185c128db8bce0fbdd2badffcd0352_1747356855_5184.png
 







“우리 아이가 미성년자인데도 성범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고요?”


“정말 형사재판에 서게 되면 전과가 남는 건가요?”


“그럼 아이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거죠?”


청소년 성범죄 사건은 단순한 실수로 끝나지 않습니다.


특히 만 14세 이상이라면 성인과 동일한 형사책임을 지게 되며,


경우에 따라 소년보호재판이 아닌 정식 형사재판에 넘겨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성년자 성범죄 사건에 연루된 자녀를 둔 부모님


꼭 알아야 할 형사처벌 기준, 전과 기록, 소년보호재판의 장점,


그리고 왜 전문 청소년 성범죄 변호사의 조력이 필수인지 알려드립니다.




1) 미성년자 형사처벌, 미성년자도 형사재판에 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은 소년법에 따라 보호처분을 받지만,


성범죄처럼 중대한 범죄의 경우에는 예외입니다.


✅ 형사처벌이 가능한 요건

  • 만 14세 이상일 경우 형사책임 능력 있음

  • 강제추행, 불법촬영, 유사강간, 아청법 위반 등 성범죄에 해당할 경우

  • 가정법원이 소년원 처분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하면,
    형사재판 회부(소년법 제32조 단서) 가능


☆ 즉, 자녀가 고등학생(혹은 중학교 고학년)이고


행위의 고의성·반복성·피해자의 고통이 명확하다면


소년보호재판이 아닌 정식 형사재판에서 유죄 선고 + 전과 기록이 남을 수 있습니다.





2) 미성년자 형사처벌, 소년보호재판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 소년보호재판이란?

형벌 대신 보호처분(1~10호)을 통해 청소년을 교화·선도하는 제도입니다.


형사기록이 남지 않으며, 전과로 불이익을 받지 않습니다.


보호처분내용특징
1~3호서면사과, 사회봉사경미한 사안에 적용
5호수강명령 (교육 이수)반성 태도 충분한 경우
6호보호관찰재범 우려, 관리 필요
8~9호소년원 송치중대한 성범죄, 반복성 있음

소년보호재판으로 갈 수 있도록 전략을 세우는 것 자체가 변호사의 역할입니다.





왜 청소년 성범죄 변호사의 조력이 필요한가요?


단순 형사 변호사가 아니라,


청소년 성범죄에 특화된 변호사를 만나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수사 초기부터 전략이 다릅니다

  • 경찰 조사 동행 → 자녀의 불리한 진술 방지

  • 포렌식 대응 → 삭제 파일, 검색 기록 등에 대한 설명 준비

  • 합의 진행 → 피해자와 직접 접촉하면 협박·회유로 오해될 수 있어, 변호사를 통한 안전한 조율 필요


✅ 2. 소년보호재판 유도를 위한 자료 정리

  • 반성문, 보호자 지도계획서, 상담 기록, 학교 자료 등
    형사적 논리로 정리해 법원에 설득력 있게 제출

  • 가해자의 성장 가능성, 개선 의지, 가정 환경 등 정서적 요소까지 포괄적으로 소명


✅ 3. 자녀의 인생이 걸려 있는 문제입니다

  • 전과 기록 자체가 진학, 취업, 공무원, 교사, 군 입대 등 모든 길에 장벽이 됩니다

  • 전과를 피하기 위해서는 단순 감정 호소가 아니라
    법률적·논리적 전략이 필수입니다





“처벌보다 더 무서운 건 전과입니다”



미성년자라 하더라도 진심 어린 반성과 철저한 준비 없이 선처를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지금이 자녀를 지킬 수 있는 마지막 타이밍일 수 있습니다.


수사 초기부터 재판까지, 청소년 성범죄 사건에 특화된 전문 변호사와 함께


소년보호처분으로 유도해 형사처벌과 전과 기록을 피하는 것,


그게 지금 부모님이 하셔야 할 최선의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