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학교 폭력 기록, 대학입시에 학교폭력 전력 반영이 능사일까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작성일23-03-02본문
학교폭력 가해학생이 학교폭력위원회(학폭위) 처분을 받으면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도록 하는 제도가 마련된 것은 2012년이다. 가해학생의 조치사항을 학생부에 남김으로써 피해학생 보호를 강화하고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였다. 학생부에 기재된 학교폭력 전력은 학생부를 제출해야 하는 대학 수시모집에서 학생에게 큰 타격을 줬다.
취지도 좋고, 효과도 있었지만 부작용도 생겼다. 지난 25일 임명 하루만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직에서 낙마한 정순신 변호사처럼 학교폭력을 저지른 자식의 처분 기록을 지우기 위해 소송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부모들이 어났다.
중앙행정심판위원회와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 자료를 보면 2012년 21건이었던 행정심판은 2019년 1609건으로 76배 정도 늘었다. 서울행정법원은 지난 17일 늘어나는 학교폭력 관련 소송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학교폭력 전담 재판부를 별도로 지정하기도 했다. 법무법인 동주 이세환 변호사는 28일 기자와 통화에서 “대입을 위해 조치사항이 완화되거나 삭제될 때까지 소송을 끌고 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 학폭위가 내린 처분은 실행되지 않는다. 피해학생과 가해학생도 별도의 분리 없이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피해학생에게 또 다른 가해가 되기도 한다. 조정실 학교폭력피해자가족협의회 회장은 “가해학생은 조치를 다시 받기 전까지 피해학생과 같은 학교, 같은 교실에서 머문다”며 “오히려 피해학생이 전학을 가거나 학교로부터 도망치는 일이 생긴다”고 했다. 이어 “피해학생에게 제일 필요한 것은 가해학생 처벌이 아닌 사과”라며 “소송으로 가해학생과 부모가 빠져나갈 구멍이 있다면 누가 진심어린 사과를 하고 가겠냐”라고 말했다.
가해학생의 부모가 벌이는 소송전은 교사가 본연의 교육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기도 한다. 이상우 경기 금암초 교사(49)는 “소송 중에는 교실 분위기가 안 좋아지는 건 물론이고 아예 지도 자체가 안 된다”며 “작은 공감에도 ‘편들기’가 돼버리기 때문에 교사가 피해학생에게 위로를 해주거나 가해학생에게 최소한의 교육적 지도를 하는 게 불가능해진다”라고 말했다.
정순신 변호사의 아들은 학폭위 처분이 학생부에 기재됐음에도 수능성적 위주인 정시모집으로 대학에 진학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정시전형에서도 학교폭력 조치사항을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입시에 학교폭력 전력 반영을 늘리는 ‘엄벌주의’는 학폭위 처분에 불복하는 소송만 늘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상우 교사는 “입시에서 학교폭력의 영향력이 강화되면 대입에서 피해를 안 보기 위해 어떻게든 부인하려는 경우만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한성준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도 “학교폭력을 입시에 강화해서 반영하겠다는 것은 단순 처벌 위주로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자세”라며 “피해학생의 상처가 나아지는지, 그것이 공동체 회복에 도움이 되는지를 살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나연 경향신문 기자 nyc@kyunghyang.com